Category: 투자철학

여러 명인들의 투자철학을 적어봅니다.

자본주의 핵심은 대출인것 같다

옛날엔 핵심이 투자인줄 알았음. 주식투자 같은거 말야. 근데 그게 아님. 자본주의에서는 인플레이션으로 시간에 따라 화폐가치가 녹아내려감. 거기서 가장 이익을 보는 사람은 ‘대출’을 많이 받은 사람임. 하지만 너무 과도했을땐 대출을 유지할...

배당주에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배당주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왜 배당주를 좋아할까? 나부터 말하자면 나는 배당주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좋은 주식이 배당을 줄뿐이고 그런 주식을 좋아하는 것이다. 가장 최고의 시나리오는 배당을 주지 않고 그...

투자의 정의와 가치투자란 무엇인가?

가치투자의 창시자인 벤저민 그레이엄은 투자에 대해 정의했다. 투자란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투자원금의 안전성과 적당한 수익성이 보장되는 행위를 말한다라고 투자를 정의했다. 그리고 이 정의는 지금에 와서는 가치투자에 대한 정의라고 볼 수도...

투자의 명인들은 주식을 10년 이상 보유하라고 했다.

여러 투자의 명인들은 투자기간을 최소 10년 이상보고 투자해야한다고 조언한다. 아래는 워렌버핏이 했던 말이다. 주가하락이 두렵다면 주식투자를 해서는 안된다. 주식은 언제든 떨어질 수 있는건데 왜 걱정을 하는가? 좋아하는 기업을 좋은 가격에...

주식으로 목표수익률 15%는 낮은것인가?

투자를 하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보면 수익률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가 있다. 그럴때마다 놀라곤 한다.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수익률의 기본은 최소 20%다. 그리고 1년에 50%는 나야 수익률이지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꽤 볼...

일본 주식도 사야한다. 사실은 모든걸 사야한다.

투자는 어느 한 곳에 몰빵하는것이 아니다. 물론 비범한 능력이 있다면 정확하 하나를 집어내서 수익을 내고 또 하나를 집어내서 수익을 내면서 반복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근데 애초에 우리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는...

외국인이 환장하는 삼성전자 우선주의 매력 포인트

삼성전자 주가추이와 배당금에 대해 살펴보자. 그리고나서 왜 외국인이 환장하고 삼성전자 우선주를 사는지 알아보자. 먼저 삼성전자의 주가 추이다. 삼성전자 상장일은 1975년 6월11일이라는데 키움에서는 1985년부터 볼 수 있었다. 1985년 6월5일 최저점인 115원으로부터...